본문 바로가기

서브 컨텐츠

목적 및 연혁

목적

  • 도민 참여와 숙의공론에 근거하여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합니다.
  • 도민과의 소통과 협치(거버넌스)가 기반이 되는 공공보건의료 정책을 개발하고 실행합니다.
  • 제주 공공보건의료의 다양한 정책 추진과정에서 거버넌스 운영 기반을 마련합니다.

거버넌스(Governance)란 무엇인가요?

정부 정책이나 법규, 제도를 만들고 집행하는 과정(정책 수립과 예산편성, 집행까지)에서 의사결정 과정에 도민(시민, 지역사회 주민)과 민간단체가 참여하는 활동이나 해당 기구(조)를 말합니다. 즉, 일반 도민, 전문가와 공무원이 함께 정부가 하는 일을 같이 하거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뜻합니다. ‘협치(協治)’, ‘민관 협치’, ‘민관 행정’등으로 바꿔 쓰기도 합니다.

연혁

2022

「포스트코로나 제주 공공보건의료 도민원탁회의」

1월~2월
사업계획 수립 및 전문 운영업체 선정
2월 23일 ~ 3월 13일
참가자 모집
3월 13일 ~ 3월 20일
참가자 대상 사전조사
3월 22일
오리엔테이션 및 위촉식
3월 26일 ~ 3월 27일
도민원탁회의 개최
원탁회의 1일차: 단계적 일상회복 위한 제주도의 대응방안
원탁회의 2일차: 제주도의 신종감염병 위기대응체계 강화방안
4월~12월
결과 보고 및 환류

2021

공공보건의료 거버넌스 사업의 필요성 재확인

10월 21일
“민관 거버넌스가 구축이 돼서 거기서 도민의 의견을 수렴하고 심도 있는 논의를 통해서... 정책과제를 도츨해야”
제주특별자치도 의회 전자회의록, 제11대 2021년도 보건복지안전위원회 행정사무감사 회의록

사전 조사·연구 수행

10월~12월
제주 지역 공공보건의료 역량 강화 방안을 위한 사전 조사연구 수행

관련 조례 개정

12월
제주특별자치도 공공보건의료위원회 설치 및 운영 조항 추가
제주특별자치도 공공보건의료에 관한 조례 제5조

2020

공공보건의료 거버넌스 사업의 필요성 제기

9월 24일
“공공의료가 잘 되기 위해서는 민관 구축이 잘돼야 되겠고, 제도적으로 공공보건의료 거버넌스 구축이 상당히 필요하다. 의료 정책이라는 것이 사실 우리 시민들이 배제되고 있어요. 수요자인 시민들도 논의에 같이 참여를 해야 되겠다”
제주특별자치도 의회 전자회의록, 제11대 제387회 제3차 보건복지안전위원회 임시회 회의록
10월 23일
“앞으로 협력적인 공공보건까지, 보건의료 리스크 거버넌스를 구축해서 도가 주축이 돼서 모든 공공의료 문제, 이런 것을 함께 의논하면서 해결해 나가야 되겠다”
제주특별자치도 의회 전자회의록, 제11대 2020년도 보건복지안전위원회 행정사무감사 회의록
12월
공공보건의료 거버넌스 협의체 (도 공공보건의료위원회) 구성 및 운영계획 협의